본문 바로가기
자동차정보

리콜 대상 확인 하는 방법

by J A Y 2020. 1. 16.

 

자동차를 운행하다 보면, 

어쩔 수 없이 결함이 발견 되기도 합니다.

 

자동차 제조사에서 차체의 결함을 발견하고

문제를 인정 하면 리콜을 실시하여

소비자들의 차량을 무상으로 고쳐주게 됩니다.

 

혹시 내 차가 리콜 대상 인지 확인을 하는

방법을 지금 부터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구글에서 '자동차 리콜센터' 라고 검색을 해줍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정부가 운영하는 사이트가 나옵니다.

 

 

 

 

클릭해서 접속을 해줍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메인 화면이 나옵니다.

 

 

 

 

이 사이트는 TS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 안정연구원에서 운영하는 곳입니다.

 

 

 

 

자동차의 결함이 발견하여 국민의

안전과 생명, 재산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운영된고 있습니다.

 

 

 

 

자동차 리콜 대상 확인

자동차 리콜 대상인지 확인 하려면,

화면에서 오른쪽에 보이는 

리콜 대상확인 이라는 메뉴를 클릭합니다.

 

 

 

 

차 넘버를 넣어줍니다.

이때, 차대 번호가 아닙니다.

편리하게 자동차 넘버로

바로 조회가 가능하네요 ^^

단, 2007년 이후에 리콜 대상만

조회가 가능합니다.

 

 

 

제 차 번호를 넣어봤습니다.

예를 들어서 12가3456 입니다.

 

 

 

 

역시 리콜 대상 확인 결과

리콜 대상이 아니라고 나옵니다.

뭐 당연하겠죠?

 

 

 

 

혹시, 자동차 이름으로 리콜 대상 확인하려면

어떻게 해야 되는지 궁금하신가요?

 

그러면, 왼쪽 메뉴에서 무상점검,정비를

클릭 해줍니다.

 

 

 

 

그리고, 차량 이름을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예) 체어맨

 

그랬더니, 1건의 무상점검 내역이 나옵니다.

 

 

 

 

클릭해서 확인 결과, 시동시 핸들 잠김

현상이 있다고 조회가 됩니다.

그리고, 생산기간도 나오고요.

무상수리기간도 나옵니다.

대상차량 대수가 8만9천대나 되네요.

 

 

 

 

그런데, 매번 이렇게 조회 하려면 귀찮습니다.

리콜대상 알리미 서비스가 있습니다.

리콜마당으로 들어가서 리콜알리미를 누릅니다.

 

 

 

 

그러면 이렇게 신청인 정보를

넣는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휴대전화 인증을 하고

이메일 주소만 넣으면 

리콜 대상 확인 알리미 서비스가 등록됩니다.

 

 

 

 

아, 휴대전화 인증 후에,

아래쪽에 자동차 정보도 넣어야 합니다.

 

 

 

 

여기까지 리콜 대상 확인하는 방법과

리콜 대상 알리미 문자 서비스

가입하는 방법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쪽에

하트 한번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